본문 바로가기
2023년 바뀌는 은행업무 2023년 바뀌는 은행업무에 대해 알려 드리겠습니다. 2023년에는 새롭게 시작되는 것도 있고 여러 가지가 바뀌는 것도 있는데 은행업무도 바뀌는 부분이 있습니다. 2023년 바뀌는 은행업무 ✅ 은행 영업시간 ■ 코로나 이후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3시 30분으로 단축 변경된 은행들이 많은데 너무 빨리 은행업무가 마감되면서 한 번쯤 은행업무에 차질을 겪으셨을 것 같습니다. 은행 영업시간에 대한 변경 건의가 많아서 2023년부터는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까지로 영업시간이 변경될 전망입니다. ✅ 은행 방문 예약 서비스 ■ 은행 창구 방문 시 방문 영업점, 방문 날짜, 방문 시간, 상담 업무 등을 미리 예약하고 가면 기다릴 필요 없이 빠르게 업무가 가능합니다. 현재는 국민, 신한, 농협, 하나, 우리은행 등.. 2023. 1. 3.
2023년 바뀌는 제도들 2023년 바뀌는 제도들에 대해 알려 드리겠습니다. 세금, 국민연금, 현금영수증, 보험, 기부금, 소비기한 등 여러 가지 제도들이 바뀝니다. 2023년 바뀌는 제도들 ✅ 세금 ■ 주식거래를 할 때 내는 증권거래세율이 낮아집니다. 코스피는 작년 0.08%에서 0.05%로 인하되고 2025년에는 0%까지 완전히 세금이 없어집니다. 코스닥은 작년 0.23%에서 올해부터 0.2%로 인하되고 2025년에는 0.15%까지 줄어듭니다. ■ 제주도 면세점에서 구입할 수 있는 금액이 600달러 이하에서 800달러 이하로 늘어나고 술은 1병(1리터, 400달러 이하)에서 2병(2리터, 400달러 이하)까지 구입할 수 있습니다. ■ 아이를 3명 이상 키우는 다자녀 가구는 자동차를 구매할 때 3백만 원까지 개별소비세를 면제받.. 2023. 1. 2.
2023년 실손보험료 할인받는 법 2023년 실손보험료 할인받는 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내년에 건강보험료가 오르는데 실손보험료도 평균 8.9%가 오릅니다. 하지만 10% 또는 50% 할인받는 법이 있습니다. 실손보험료 할인받는 법 현재 4세대 실손보험까지 나와 있지만 내년에 오르는 보험은 1, 2, 3세대 실손보험이고 4세대 실손보험은 기본적으로는 동결됩니다. 특히 2017년 4월부터 가입이 시작된 3세대 실손보험은 평균 14%가 올라서 내년에 건강보험료도 오르는데 국민들의 보험료 부담이 더 커질 것 같습니다. 그리고 갱신 주기에 따라 5년 주기로 인상되는 보험에 가입하신 분들은 인상률이 50%가 넘는 경우도 생깁니다. ✅ 실손보험료 10% 할인 실손보험료를 10% 할인해 주는 제도가 있습니다. 자동차 보험은 무사고나 교통법규 위반이 .. 2022. 12. 31.
2023년 실손보험료 환급받는 법 2023년 실손보험료 환급받는 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2023년 1월 1일부터 실손보험료를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받을 수 있는지 알려 드리겠습니다. 2023년 실손보험료 환급받는 법 2023년 1월 1일부터는 개인 실손보험하고 단체 실손보험에 중복으로 가입된 분들은 둘 중에 하나를 중지해서 보험료 부담을 줄이고 납입 보험료를 환급받을 수 있게 됩니다. 회사에서 직원들 복지 차원으로 단체보험에 가입하는 경우도 많다 보니까 자기도 모르게 실손보험에 중복해서 가입되는 경우가 생깁니다. 이렇게 실손보험에 중복해서 가입된 사람이 올해 9월 말 기준으로 약 150만 명이나 되고 개인실손보험을 중복해서 가입한 사람도 6만 명이나 된다고 합니다. 그런데 실손보험은 여러 개 가입되어 있다고 해서 돈을 더.. 2022. 12. 31.
2023년 시작되는 청년지원정책 2023년 시작되면서 청년지원정책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대통령 공약으로 2023년에 새로 생기는 정책인 청년도약계좌와 구직 단념 청년 도약준비금에 대한 내용입니다. 2023년 시작되는 청년지원정책 ✅ 청년도약계좌 ■ 2023년에는 청년 306만 명을 대상으로 목돈 마련을 도와주는 청년도약계좌가 신규로 도입됩니다. ■ 가구 소득은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이고 본인 소득은 6천만 원 이하의 비교적 고소득 청년까지 가입이 가능합니다. ■ 본인이 월 40만 원에서 70만 원까지 저축을 하면 은행이자 7%에서 8%에 더해서 정부에서 최대 6%의 매칭금을 지원해 주고 비과세 혜택까지 추가해서 5년이 지나면 5천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 6월부터 모집을 시작해서 2025년까지 한시적으로 운영할 예정.. 2022. 12. 30.
2023년 바뀌는 정부지원금 2023년 바뀌는 정부지원금에 대해 알려 드리겠습니다. 2023년에는 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을 비롯한 여러 가지 정부지원금에 대한 내용이 바뀝니다. 하나씩 알려 드리겠습니다. 2023년 바뀌는 정부지원금 ✅ 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 ■ 2022년 세법 개정안을 통해서 내년부터는 근로장려금 최대 지급액을 올해보다 10% 인상합니다. 기존 맞벌이 가구 기준으로 받을 수 있는 금액은 300만 원이 최대였지만 내년에는 330만 원으로 인상되고 재산요건은 기존 2억 원 미만에서 2억 4천만 원 미만으로 완화됩니다. ■ 자녀장려금은 기존 70만 원에서 80만 원으로 인상됩니다. ✅ 기초연금 ■ 그동안 만 65세 이상 소득 하위 70%의 어르신들에게 해당하는 기초연금이 40만 원으로 인상된다거나 부부감액이 폐지된다는 .. 2022. 12. 30.
2023년 바뀌는 바우처 제도 2023년 바뀌는 바우처 제도에 대해 알려 드리겠습니다. 2023년에는 각종 바우처 제도의 대상자가 확대되고 지원되는 금액이 인상됩니다. 2023년 바뀌는 바우처 제도 ✅ 에너지 바우처 저소득층 냉난방비를 지원하는 에너지 바우처는 제도가 시작된 이래로 역대 최대인 50% 수준으로 인상해서 연간 127,000원에서 185,000원으로 늘어납니다. ✅ 문화누리카드 내년 문화누리카드 예산은 2,102억 원으로 올해보다 221억 원 증액돼서 1인당 연간 11만 원이 지원됩니다. ✅ 스포츠강좌 이용권 스포츠강좌 이용권 예산은 852억 원으로 올해보다 333억 원 증액돼서 기존 월 8만 5천 원씩 10개월에서 내년부터는 95,000원씩 12개월로 금액과 기간이 모두 늘어납니다. 2023년 스포츠강좌 이용권 바우처 .. 2022. 12. 29.
2023년 추가된 현금영수증 의무발행 업종 2023년 추가된 현금영수증 의무발행 업종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2023년 1월 1일부터 현금영수증 의무발행 업종에 17개 업종이 새롭게 추가됩니다. 2023년 추가된 현금영수증 의무발행 업종 2023년 1월 1일부터 아래의 17개 업종에 해당하는 사업자는 소비자가 현금영수증 발급을 요구하지 않아도 거래 건당 10만 원 이상 현금거래 시 반드시 현금영수증을 발급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거래 상대방의 인적사항을 모르는 경우에도 국세청이 지정한 전화번호인 010-000-1234로 거래일로부터 5일 이내에 현금영수증을 발급하셔야 합니다. ※ 현금영수증을 발급하지 않으면 미발급 금액의 20% 상당액이 가산세로 부과되는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2023년 근로장려금 자녀장려금 바뀌는 내용 2023년 근로장려금.. 2022. 12. 28.
현금영수증 미발급 신고방법 및 포상금 현금영수증 미발급 신고방법 및 포상금에 대해 알려 드리겠습니다. 아울러 현금영수증 발급의무 위반 시 부과되는 가산세와 발급의무 위반 주요 사례도 알려 드리겠습니다. 현금영수증 발급의무 위반 ■ 현금영수증 발급의무 위반 시 가산세 현금영수증 의무발행업종 사업자가 거래 건당 부가가치세 포함 10만 원 이상 재화나 용역 거래대금을 현금으로 받고 현금영수증을 발급하지 않으면 미발급 금액의 20%에 해당하는 가산세가 부과됩니다. ※ 거래 상대방이 현금영수증 발급을 요청하지 않은 경우 그 대금을 현금으로 받은 날부터 5일 이내에 자진 발급 시 가산세 부과 대상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착오나 누락으로 거래 당시에 발급하지 않은 경우 거래대금을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자진 발급 시 가산세 금액의 50%를 감.. 2022. 12. 27.
2023년 바뀌는 알뜰교통카드 혜택 및 신청방법 2023년 바뀌는 알뜰교통카드 혜택 및 신청방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국토교통부에서 대중교통지원금 제도인 알뜰교통카드의 혜택을 2023년부터 대폭 강화한다고 합니다. 2023년 바뀌는 알뜰교통카드 혜택 ■ 앞으로는 저소득층의 경우에는 마일리지 적립 기준을 최대 50%까지 높이고 청년층 지원을 따로 신설해서 최대 38%까지 적립할 수 있게 됩니다. 1회 교통 요금 지출 금액에 따라 2,000원 미만, 2,000원에서 3,000원, 3,000원 이상 이렇게 구분해서 적립됩니다. 2023년 근로장려금 자녀장려금 바뀌는 내용 2023년 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 바뀌는 내용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의 재산 요건은 완화하고 지원금액은 인상됩니다. 새롭게 바뀌는 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에 대해 www.. 2022. 12.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