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9 안심콜 신청방법 119 안심콜에 대해 알려 드리겠습니다. 119 안심콜은 질병이 있으신 분, 장애가 있으신 분, 고령자와 독거노인 분들이 위급하실 때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119 안심콜이 무엇인지와 신청방법을 알려 드립니다. 119 안심콜 ■ 119 안심콜은 위급한 상황일 때를 대비해서 내가 평소에 어떤 질병이 있으며 내가 어떤 약물을 복용하고 있었는지와 보호자의 연락처 등을 119에 등록을 해 두는 서비스입니다. 만약 사고가 발생해서 내가 위급한 상황일 때 119에서 미리 등록해 놓은 정보들을 토대로 어느 병원으로 이송을 해야 하고 어떤 치료를 해야 하는지 신속하게 확인하고 응급처치를 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입니다. 또한 신고가 됐을 때 보호자에게도 자동으로 현재 어느 병원으로 이송 중이라는 문자가 발송되기 때.. 2022. 6. 16. 고혈압 당뇨병 등록서비스 지원내용 신청방법 고혈압 당뇨병 등록 서비스를 알려 드리겠습니다. 고혈압 당뇨병 등록 서비스는 고혈압 당뇨병이 있는 분들에게 지원을 해 주는 서비스입니다. 고혈압 당뇨병 등록 서비스 지원내용과 신청방법을 알려 드립니다. 고혈압 당뇨병 등록 서비스 지원내용 ■ 고혈압 당뇨병 등록 서비스는 만 30세부터 만 65세 이상(지자체마다 조금씩 다름)까지 현재 고혈압과 당뇨병을 앓고 있는 분들이 신청하실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 고혈압, 당뇨병 등록 서비스를 신청하시면 혈압이나 혈당 조절을 위한 진료비와 약제비 등 3,500원의 치료비를 매월 지원받으실 수 있습니다. ■ 당 수치가 높은 분들 중 희망하시는 분들에게는 무료로 혈당 측정기를 대여해 주는 지역도 있습니다. 희망하시는 분들은 현재 거주하고 계시는 지역의 보건소나 고혈압 .. 2022. 6. 16. 도로 교통법 개정안 내용 (7월 12일~) 도로 교통법 개정안이 7월 12일부터 시행됩니다. 도로 교통법에 어떤 내용들이 추가가 됐는지 도로 교통법 개정안 내용에 대해 알려 드리겠습니다. 도로 교통법 ■ 7월 12일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도로 교통법이 공포된 것은 6개월 전인 올해 초입니다. 1월 11일에 보행자 보호의무 강화 등 개정된 도로교통법이 공포됐습니다. 보행자 보호의무를 강화하고 회전 교차로 통행방법 등을 마련했으며 교통사고 위험성이 크고 위반 신고 빈도가 잦은 13개 항목에 대해 과태료 부과 근거 규정을 신설했습니다. ■ 도로 교통법 보행자 보호의무 강화 □ 횡단보도를 건너는 사람이 있을 때는 물론이고 보행자 신호등이 빨간 불이라고 해도 횡단보도 앞에 사람이 서 있으면 일시 정지 후 지나가는 것이 의무화됩니다. □ 어린이 보호구역 .. 2022. 6. 16. 자동차 채권매입과 공채할인 자동차를 구매할 때 개별 소비세, 취득세를 내는 것 외에 해야 할 일이 한 가지가 더 있습니다. 바로 자동차 채권 매입 또는 자동차 공채 할인입니다. 자동차 채권 매입과 자동차 공채 할인에 대해 알려 드리겠습니다. 자동차 채권 매입 ■ 자동차 채권 매입은 신차든 중고차든 자동차를 구입할 때 자치단체별 재원 조달을 목적으로 지역개발채권이나 도시철도채권을 의무적으로 사야 하는 것을 말합니다. 하지만 자동차 채권은 일정 기간이 지나면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환급 신청을 하지 않아서 찾아가지 않은 금액이 엄청나다고 합니다. 정부에서 자동차 채권 미환급금 2,391억 원을 상환해 줄테니까 찾아가라고도 했었습니다. 아직 자동차 채권 미환급금을 찾아가지 않으신 분은 조회해 보시고 찾아가시기 바랍니다. 자동차 .. 2022. 6. 15. 자동차세 환급방법과 자동차세 환급 신청방법 자동차세 환급에 대해 알려 드리겠습니다. 자동차세 환급을 받을 수 있는 자동차세 환급방법 2가지와 자동차세 환급 신청방법을 알려 드립니다. 자동차세 환급 자동차를 보유하고 있으면 자동차세를 납부해야 되는데 내가 납부한 자동차세 환급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자동차세 환급방법 2가지를 알려 드리겠습니다. ■ 자동차세 환급방법 첫 번째 자동차세 연납 신청을 해서 연초에 미리 납부를 했는데 해당 연도에 자동차를 팔거나 폐차를 한 경우에는 자동차 사용 일수를 제외한 잔여 일수만큼 납부한 자동차세를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 자동차세 환급 신청방법 자동차세 환급 신청은 위택스 홈페이지나 모바일 앱에서 하실 수도 있고 세무 부서를 방문하시거나 전화 또는 팩스로도 하실 수 있습니다. 혹시 환급 제도를 몰라서.. 2022. 6. 15. 자동차세 납부시기와 자동차세 연납 자동차세 납부시기와 자동차세 연납에 대해 알려 드리겠습니다. 자동차세 납부시기와 가산금, 자동차세 계산방법 그리고 자동차세 연납과 신청방법을 알려 드립니다. 자동차세 납부시기 ■ 자동차세 납부시기 정기 자동차세 납부는 10만 원 이하는 6월에 한 번만 부과되고 10만 원이 넘으면 2회로 나눠서 1 기분은 6월 16일부터 30일까지이며 2 기분은 12월 16일부터 31일까지입니다. ■ 자동차세 가산금 자동차세 납부시기에 납부를 하지 않으면 가산금 3%가 붙게 되며 연체 후 미납이 계속 지속되면 번호판 영치 등의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자동차세 계산방법 자동차세는 다른 세금과 다르게 자동차 가격과는 무관하게 배기량과 운행 연수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 승용차의 경우 배기량당 일정 세액을 곱해서 자동.. 2022. 6. 15. 자동차 취득세 감면기간 감면금액 자동차 취득세 감면기간 감면금액에 대해 알려 드리겠습니다. 자동차를 등록할 때 내야 되는 자동차 취득세의 감면기간은 언제까지이고 자동차 취득세의 감면금액은 얼마인지 알려 드립니다. 자동차 취득세 ■ 차량 등록할 때 본인의 차량이 재산으로 인정되는 과정에서 지자체의 지방세인 자동차 취득세를 내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승용차는 차량 가격의 7%, 승합차와 화물차는 5% 영업용과 경차는 4%를 내야 합니다. 개별 소비세는 5%였는데 취득세는 7%니까 더 비쌉니다. 하지만 경차는 기존에 50만 원까지 자동차 취득세가 감면이 됐습니다. 그리고 올해부터 2024년까지 75만 원까지 감면 한도가 높아져서 1,875만 원까지는 자동차 취득세가 0원이 됩니다. 그 이상이라면 초과 부분에 대해서만 자동차 취득세를 내면 됩니.. 2022. 6. 14. 개별 소비세 인하기간 인하금액 개별 소비세 인하기간 인하금액에 대해 알려 드리겠습니다. 개별 소비세 인하기간이 연장됐습니다. 개별 소비세 인하기간이 언제까지이고 인하금액은 얼마인지 알려 드립니다. 개별 소비세 인하기간 ■ 자동차를 구입할 때는 3가지 세금을 냅니다. 자동차 구입 시 내는 세금 3가지는 개별 소비세와 교육세와 부가가치세입니다. 개별 소비세는 자동차를 사치성 물품에 해당한다고 보고 사치물품의 소비는 자제시키고 세수는 늘리기 위한 목적으로 차량 출고가를 기준으로 5%를 부과합니다. 여기에 교육세로 개별 소비세의 30%가 더 부과됩니다. 그리고 개별소비세, 교육세를 모두 더한 가격의 10%를 간접세인 부가가치세로 내게 됩니다. ■ 8인승 이하의 승용차는 5%의 개별 소비세가 붙지만 9인승 이상의 승합차나 렌터카, 화물차, 장.. 2022. 6. 14. 직장가입자 건강보험료 부과기준 변경내용 직장가입자 건강 보험료 부과기준 변경내용을 알려 드립니다. 2022년 하반기부터 직장가입자 건강 보험료 부과기준이 변경됩니다. 어떻게 변경이 되는지 알려 드리겠습니다. 건강 보험 ■ 건강 보험 제도는 사회 보장 제도로 국민들이 질병이나 부상으로 치료를 받을 때 발생하는 진료비 부담을 줄여서 적절한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입니다. 평소에 국민들이 낸 보험료를 국민건강 보험공단이 관리 및 운영하다가 필요시에 보험급여를 제공하여 필요한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사회 안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제도입니다. ■ 건강 보험은 국내에 거주하고 소득이 있는 만 18세 이상에서 만 60세 미만의 국민이라면 의무적으로 가입되고 매달 납부하는 건강보험료 부과 기준은 소득과 재산 기준을 근거로 .. 2022. 6. 13.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기준 변경내용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기준 변경내용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2022년 하반기부터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기준이 변경됩니다. 어떻게 변경되는지 알려 드립니다. 건강보험 피부양자 ■ 건강보험 피부양자는 직접적으로 건보료를 부담하지 않아도 부양 능력이 있는 피보험자(직장가입자)에 생계를 의존하여 건강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을 말합니다. 건강보험 피부양자에 해당되는 사람은 피부양자 소득 및 재산 요건을 충족하는 배우자, 자녀, 조부모, 부모 등이 될 수 있습니다. 다가오는 2022년 하반기부터는 피부양자 자격 기준이 되는 소득 및 재산 요건이 강화되어 변경되는 자격 요건을 충족하지 못할 시 피부양자에서 탈락되어 지역가입자로 전환되어 건보료를 납부하게 됩니다.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기준 현재 시행하고 있는 건.. 2022. 6. 13. 이전 1 ··· 79 80 81 82 83 84 85 ··· 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