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린스 활용법 4가지 린스 활용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남은 린스나 유통기한이 지난 린스 활용법 4가지와 함께 린스나 샴푸를 끝까지 알뜰하게 쓸 수 있는 꿀팁도 알려 드리겠습니다. 린스 활용법 먼저 린스를 욕실 거울, 가전제품, 선풍기, 냉장고에 활용하는 방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 욕실 거울 린스를 마른 천(수건이나 걸레)에 묻혀서 욕실 거울을 닦아주면 다른 세제를 사용한 것보다 정말 쉽게 욕실 거울에 있는 물때를 없앨 수 있습니다. 욕실 거울뿐 아니라 유리로 만들어진 선반도 린스로 닦아주면 물때가 잘 지워집니다. ※ 젖은 천을 사용하면 거품이 생기기 때문에 꼭 마른 천을 사용하셔야 합니다. ■ 가전제품 가전제품은 닦아줘도 정전기로 인해서 먼지가 자주 쌓이는 경우가 많은데 린스로 닦아주면 먼지가 쌓이는 것을 늦출 수 있습.. 2023. 6. 22.
주민등록증 2024년 바뀌는 내용 주민등록증 2024년 바뀌는 내용에 대해 알려 드리겠습니다. 2024년부터 주민등록증을 포함한 신분증들의 어떤 점들이 바뀌는지 알려 드리겠습니다. 주민등록증 2024년 바뀌는 내용 ■ 주민등록증 유효기간 주민등록증은 운전면허증과 달리 유효기간이 정해져 있지 않아서 오랫동안 그대로 사용하는 분들이 대부분입니다. 오래된 주민등록증은 글자 확인이 어려울 때도 있고 너무 오래전 사진이거나 사진이 바래서 정확한 본인 확인이 어려울 때가 많습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앞으로 주민등록증도 유효기간이 생깁니다. 주민등록증 유효기간은 다른 해외 국가들처럼 10년으로 정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 신분증 글자수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 신분증 관련해서 꾸준히 제기되어 오던 문제점이 있는데 바로 신분증에 기재되.. 2023. 6. 22.
응급안전안심서비스 지원내용 지원대상 신청방법 응급안전안심서비스 지원내용 지원대상 신청방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응급안전안심서비스는 화재 등 응급상황 및 활동이 감지되지 않는 상황에서 구급, 구조를 지원하는 정부지원서비스입니다. 응급안전안심서비스 지원내용 먼저 2023년부터 응급안전안심서비스에 추가된 내용입니다. ■ 음성인식기능 살려줘를 외치면 바로 119로 신고가 되는 음성인식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정말 위급한 순간 도움을 외치는 한마디로 119로 바로 신고가 되는 기능입니다. ■ 인공지능 케어콜 서비스 활동이 감지되지 않을 때 안부 전화를 하는 인공지능 케어콜 서비스가 추가되었습니다. 응급안전안심서비스는 집안에 기기를 설치해서 응급 상황을 119 및 응급관리 요원에게 자동으로 알려서 신속하게 구조와 구급을 지원하는 서비스입니다. 응급안전안심서비스.. 2023. 6. 22.
상병수당 2단계 시범사업 지원대상 모형 시행지역 상병수당 2단계 시범사업 지원대상 모형 시행지역에 대해 알려 드리겠습니다. 상병수당 2단계 시범사업이 2023년 7월 3일부터 시작됩니다. 상병수당 2단계 시범사업 지원대상 상병수당 2단계 시범사업을 정부에서 7월 3일부터 시작합니다. 1단계 사업과 병행해서 운영되며 2단계 사업은 지원이 필요한 대상에게 집중적으로 지원합니다. 상병수당 2단계 시범사업 지원대상은 1단계와 조금 다릅니다. 1단계 사업의 지원대상이 모든 취업자였다면 2단계 사업의 지원대상은 소득하위 50% 취업자입니다. ※ 아래에 있는 시행지역별 관련 글에서 지원대상에 대한 좀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상병수당 2단계 시범사업 모형 상병수당 2단계 시범사업 모형은 근로활동불가 모형과 의료이용일수 모형 2가지 모형이 있습니다... 2023. 6. 21.
가사지원서비스 신청대상 이용요금 신청방법 가사지원서비스 신청대상 이용요금 신청방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서울형 가사서비스 울산시 가사지원서비스 동해시 가사지원서비스의 신청대상 이용요금 신청방법입니다. 서울형 가사서비스 ■ 신청대상 서울시에 거주하는 중위소득 150% 이하의 임산부나 맞벌이 다자녀 가정입니다. 중위소득 150%는 3인 가구 기준으로 약 660만 원 정도고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으로는 노인 장기요양보험료 포함 직장가입자는 약 26만 원 정도고 지역가입자는 약 23만 원 정도입니다. 임산부 가구는 임신부터 출산 후 1년 이내 가구가 해당되며 맞벌이는 부부 모두 1주일에 20시간 이상 근로하고 있는 가구라서 하루에 4시간 정도 반나절만 일을 해도 인정됩니다. 서울시는 자녀 2명부터 다자녀로 인정해 줘서 다자녀 가정은 만 18세 이하 자녀.. 2023. 6. 21.
털린 내 정보 찾기 이용방법 털린 내 정보 찾기 이용방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정부에서 운영하며 무료로 내 개인 정보가 털렸는지 즉시 확인하고 유출된 사이트 탈퇴까지 할 수 있습니다. 털린 내 정보 찾기 털린 내 정보 찾기는 다크웹 등 음성화 사이트에서 유통되고 있는 내 정보의 유출확인을 통해서 2차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시행하는 서비스입니다. 인터넷상 불법으로 유통되는 아이디, 비밀번호 등 개인정보가 명의도용, 보이스피싱 등 각종 범죄에 악용되고 있습니다. n번방 사건으로 많이 알려진 다크웹에서는 개인정보, 위조, 마약, 해킹정보 및 성착취물 등이 유통돼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다크웹은 특수한 브라우저를 통해서만 접속할 수 있는 웹인데 익명성 및 추적불가로 블랙마켓에 활용되는 경우가.. 2023. 6. 21.
광역콜버스 이용방법 운행지역 광역콜버스 이용방법 운행지역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정부에서 광역콜버스 시범사업을 시작합니다. 출퇴근하실 때 광역버스를 이용하시는 분들은 오늘 내용 꼭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광역콜버스 광역콜버스는 버스를 이용해서 출퇴근할 때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정부에서 새롭게 시작하는 시범사업입니다. 버스를 이용할 때 가장 큰 불편함은 버스를 오랜 시간 동안 기다려야 한다는 점과 오랜 시간 버스를 기다려서 탔는데 자리가 없어서 계속 서서 가야 한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광역콜버스를 이용하면 원하는 날짜, 원하는 탑승 시간, 정류장, 좌석까지 모두 사전예약이 가능합니다. 무료로 이용할 수 있고 버스 요금은 사전예약을 하면서 미리 결제할 수도 있고 교통카드 등록 후 버스 탑승 시 태그 해서 결제할 수도 있으며 광역버스 요.. 2023. 6. 19.
주정차 단속 7월부터 바뀌는 내용 주정차 단속 7월부터 바뀌는 내용에 대해 알려 드리겠습니다. 2023년 7월 1일부터 주정차 단속이 바뀌니까 운전하시는 분들은 오늘 내용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주정차 단속 자치단체에서 설치한 주정차 단속 카메라를 최근에는 복잡한 도시뿐 아니라 지방의 작은 소도시에서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주차단속 차량들이 직접 다니면서 단속하기도 하고 국민신문고 앱을 통한 일반 시민들의 신고로도 과태료가 부과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특히 절대주차금지구역에서는 잠깐 동안만 정차하는 것도 불법이라 과태료가 4만 원에서 8만 원이 부과됩니다. 이곳에서는 일반 시민들이 사진을 찍어 국민신문고 앱으로 신고하는 경우 단속 공무원의 현장 확인 없이 과태료가 즉시 부과됩니다. 주정차 단속 바뀌는 내용 ■ 주정차 단속 바뀌.. 2023. 6. 19.
주정차단속알림서비스 통합주정차단속알림 신청방법 주정차단속알림서비스 통합주정차단속알림 신청방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주정차단속에 걸려서 과태료 내기 싫으신 분은 오늘 내용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정차단속알림서비스 주정차단속알림서비스는 이름 그대로 주정차단속에 걸리는 곳에 차가 있으니까 이동을 하라고 알려주는 서비스입니다. 주정차단속 카메라가 많아지면서 과태료를 내는 분들이 많으신데 주정차금지구역인지 모르고 실수로 주차를 했다가 과태료를 내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대부분 지자체에서 주정차단속 카메라를 설치하는 것은 과태료를 부과하기 위한 목적보다는 복잡한 도로에서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목적이 더 큽니다. 그래서 지자체에 주정차단속알림서비스를 신청하면 과태료를 부과하기 전에 신청한 운전자의 휴대전화로 이동하라고 알림을 보내줍니다. ■ 신청방법 신.. 2023. 6. 17.
대구 달서구 상병수당 신청대상 지원금액 신청방법 대구 달서구 상병수당 신청대상 지원금액 신청방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대구 달서구가 상병수당 2단계 시범사업지역으로 선정이 됐습니다. 대구 달서구 상병수당 신청대상 ■ 대구 달서구에 거주하는 취업자나 대구 달서구 소재 사업장에서 일하는 근로자 중 만 15세 이상 만 65세 미만의 대한민국 국적자. ※ 출입국 관리법 제31조에 따라 외국인 등록을 한 국내에 체류 중인 외국인 중 아래 사항에 해당하는 경우 예외적으로 지원대상자로 인정됩니다. □ 대한민국 국민과 혼인 중인 사람. □ 대한민국 국민인 배우자와 이혼하거나 그 배우자가 사망한 사람으로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직계존비속을 돌보고 있는 사람. □ 난민법에 따라 난민으로 인정된 사람. ■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자영업자, 고용보험과 산재보험에 가입한 예술인.. 2023. 6.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