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청년도약계좌 바뀌는 내용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납입한도와 기여금 지원이 확대되고 혜택도 강화되는 등 5가지가 바뀝니다.
2025년 청년도약계좌 바뀌는 내용
1. 청년도약계좌 납입한도 확대
모든 소득구간의 청년도약계좌 납입 한도가 70만 원으로 확대됩니다.
2. 기여금 지원 확대
개인소득(연소득, 총 급여) 수준에 따른 기여금 지원금액이 확대됩니다.
■ 2,400만 원 이하
기존 24,000원에서 33,000원으로 9,000원 늘어납니다.
■ 2,400만 원 초과 3,600만 원 이하
기존 23,000원에서 29,000원으로 6,000원 늘어납니다.
■ 3,600만 원 초과 4,800만 원 이하
기존 22,000원에서 25,000원으로 3,000원 늘어납니다.
■ 4,800만 원 초과 6,000만 원 이하
기존 21,000원이 유지됩니다.
3. 3년 이상 유지 시 혜택 강화
기존에는 만기(5년) 도래 전 중도해지 시 비과세 미적용 및 특별중도해지 사유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기여금이 환수됐습니다.
하지만 2025년에는 만기 도래 전이라도 3년 이상 유지한 후 중도해지 시 비과세 유지 및 기여금 일부(60%)를 지원합니다.
4. 성실납입 시 개인신용평가점수 가점 부여
기존에는 가입 유지 기간에 따른 별도 개인신용평가점수 가점이 없었고 마이데이터 등을 통해 별도로 납입정보 제공이 필요했습니다.
하지만 2025년에는 2년 이상 800만 원 이상 납입 시 KCB, NICE 기준 개인신용평가점수 가점이 5점~10점 부여됩니다.
또한 청년도약계좌 가입 시 청년도약계좌 납입정보 자동 연결됩니다.
5. 부분인출서비스 이용
기존에는 만기 전 부분인출서비스 이용이 제한됐지만 2025년에는 2년 이상 유지한 경우 납입원금의 40% 이내에서 부분인출서비스 이용이 가능합니다.
※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에서 청년도약계좌 지원대상, 가입방법, 가입절차 등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상단 메뉴 금융상품 - 자산형성 - 청년도약계좌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2025년 청년도약계좌 바뀌는 내용을 알려 드렸습니다. 주위분들에게 공유해 주시기 바랍니다.
댓글